2020년 2021년은 비트코인을 비롯한 암호화폐 시장의 호황기로 여겨집니다. 하지만 올해들어 미연준의 기준금리 조기인상과 양적 긴축시사로 인해 계속된 하락세를 거듭하고 최고가 대비 반토막이나서 투자심리는 현재까지 위축되어있는데요. 이와 같이 하락장이 이어질 때에는 코인 관련 정보나 이슈를 더욱 꼼꼼히 살펴서 현명하게 대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오늘은 스트라이크 코인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스트라이크 코인 개요
2021년 3월 30일 스펜드 코인이 1,000 대 1의 비율로 STRK로 토큰 재편성 및 리브랜딩 이후 스펜드 SPND코인이 아닌
스트라이크STRK코인으로 터커 이름이 바뀌었습니다
스트라이크는 블록체인 기반 통화 및 자산 플랫폼이자 유틸리티 디지털 자산입니다. 스트라이크는 전세계 이용자들이 어디에서나 안전하고 간편하게 지불할 수 있는 종합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며, 기존 결제 플랫폼보다 낮은 거래 수수료로 판매자와 이용자가 모두 이익을 볼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합니다. 또한 이용자들에게 이용방법과 관련 지식 및 정보를 무료로 제공하며 정보 제공에 대한 대가로 이용자에게 보상을 제공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 스트라이크 플랫폼에는 sTokens이라는 네이티브 토큰(Native Token)이 존재하며, 기초(Underlying) 디지털 자산과 가치를 연동하는데 사용됩니다. 이러한 sTokens은 이더리움 지갑들 간에 전송이 가능하며, 이를 통해 프로토콜 내에서 기초자산 가치를 추적할 수 있고 기초자산을 현금화할 수 있습니다.
- 스트라이크 플랫폼에서 디지털 자산을 빌리기 위해서는 다른 디지털 자산을 담보함으로써 플랫폼 내에 공급을 해야하는데, 이때 공급된 디지털 자산 대비 빌릴 수 있는 디지털 자산의 비율을 Collateral factors라고 부릅니다. 이러한 Collateral factors는 초기에 작성된 스마트 컨트랙트에 의해 정해지며, 이후 스트라이크 거버넌스에 의해 통제됩니다.
스트라이크 코인 거래소 현황

스트라이크 코인은 쿠코인,OKX,디지파이넥스,비트렉스 해외 거래소에 상장 되어 있지만 사진을 보시다시피 업비트 거래대금이 무려90%이상 차지하고있습니다 이는 해외시세 영향을 받지 않아 김치코인으로 분류 할수있습니다
스트라이크 전망
스트라이크는 이더리움 생태계 안에서의 규모있는 분산 단기 금융시장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스트라이크는 유저들이 자유롭게 자신이 가진 디지털 자산을 교환할 수 있는 신뢰성있는 플랫폼을 구축함과 동시에, 개발자들이 이더리움 블록체인 생태계 안에서 새로운 디파이(DeFi) 적용 사례들을 발굴해내기를 지원해나갈 것입니다.
'코인'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플로우 코인 전망 지금은 어떨까요? (0) | 2022.07.11 |
---|---|
NFT 관련주 종목은? (0) | 2022.07.10 |
도지코인 전망 (0) | 2022.07.09 |
이캐시 코인 전망 지금은? (0) | 2022.07.08 |
엘론드 코인 전망은? (0) | 2022.07.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