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코인

스텔라루멘 코인 전망분석

 

스텔라루멘 이란?


스텔라루멘의 경우 리플(XRP)에서 하드포크하여 탄생된 암호화폐입니다 스텔라루멘은 리플을 하드포크를 하여 탄생된
암호화폐여서 리플과 쓰임새가 비슷한 코인입니다

하드포크 HARD FORK?

 

하드포크(Hard Fork)는 블록체인 프로토콜이 어느 한 시점에서 급격하게 변경되는 것을 뜻을 말합니다 업그레이드를 한 코인 업그레이드를 하지 않은 두 갈래 블록체인으로 나뉘는 것입니다.

개발자들은 이전 버전의 프로토콜에서 심각한 보안상 취약점을 발견했을 때, 혹은 소프트웨어에 새로운 기능을 추가하거나 개선하려 할 때 하드포크를 진행합니다 하드포크로 인해 신규 암호화폐가 만들어지기도 하는데 이는 암호화폐 가격에 큰 영향을 미치기도 합니다

하드포크를 통해 신규 암호화폐가 만들어진 경우가!! 비트코인 하드포크를 통해 탄생된 비트코인 캐시 라이트코인의 하드포크를 통해 탄생 된 도지코인 리플의 하드포크를 통해 탄생된 스텔라루멘 이 있습니다

 

앞서 말했듯이 스텔라루멘은 리플에서 하드포크를 통해 분리된 플랫폼입니다 스텔라루멘과 리플 모두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하여 빠르고 저렴한 국제 송금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목표입니다


리플과 스텔라루멘의 차이점은 리플은 프라이빗 블록체인 방식 스텔라루멘은 퍼블릭 블록체인 방식입니다.


또한 리플은 화폐 총량이 증가하지 않습니다그러나 스텔라루멘은 매년 코인 수가 1%가 추가 발행되는인플레이션형 화폐입니다

리플은 영리기업인 리플 랩스에서 운영하는 반면 스텔라는 비영리 단체인 스텔라 개발재단에서 담당한다는 차이가 있습니다 또한 은행이나 기업과 같은 금융기관을 대상으로 하는 리플과 달리 스텔라는 개인과 금융소외계층을 주요 고객으로 한다고 합니다

한줄요약

리플의 업그레이드 버전 = 스텔라루멘

 

스텔라루멘 호재는 뭘까?

스텔라루멘은 중계 기관을 거치지 않고 직접 송금이 가능하며 특히 국가 간 거래를 쉽게 할 수 있다는 강점 때문에 여러 프로젝트에서 사용되고 있는데요 2019년에는 결제 네트워크를 만들기 위해 IBM과 협약을 맺었으며 웨스턴 유니온도 스텔라의 블록체인을 활용하는 스타트업과 파트너십을 체결하기도 했습니다

스텔라 루멘 USDC 호재?

지난 1월 가장 큰 스텔라 호재였던 우크라이나 정부와 스텔라 재단이 가상자산 생태계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한 파트너 쉽을 맺은 것 2월 28일 USDC는 STELLA에 발행 USDC는 테더 다음으로 시가총액이 큰 스테이블 코인이며 최근 테더 소송 이슈로 주목받는 암호화폐 중 하나입니다

반응형

'코인'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머니 코인 전망 호재는?  (0) 2022.10.30
밸러토큰 코인 전망 분석  (1) 2022.10.12
고체인 코인 전망에 대해 알아봐요  (0) 2022.10.03
코인 선물거래 방법 안내  (3) 2022.09.13
디센트럴랜드 코인 전망은  (0) 2022.09.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