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타르 월드컵 16강 일정 및 결과
2022 카타르 월드컵 16강에 진출한 팀을 각 조별로 살펴 보겠습니다.
구분
|
A조
|
B조
|
C조
|
D조
|
E조
|
F조
|
H조
|
G조
|
1위
|
네덜란드
|
잉글랜드
|
아르헨티나
|
프랑스
|
일본
|
모로코
|
포르투갈
|
브라질
|
2위
|
세네갈
|
미국
|
폴란드
|
호주
|
스페인
|
크로아티아
|
대한민국
|
스위스
|
- 유럽 7개팀 - 네덜란드 잉글랜드 프랑스 폴란드 스페인 포르투칼 스위스
- 남미 2개팀 - 아르헨티나 브라질
- 북중미 1개팀 - 미국
- 아프리카 2개팀 - 세네갈 모로코
- 아시아 3개팀 - 대한민국 일본 호주
16강 진출팀을 살펴보니 아시아권에서는 대한민국, 호주, 일본 3개 팀이 진출하여 8강 진출을 다투게 되었습니다. 아시다시피 16강부터는 단판 승부 단두대 매치입니다. 지면 무조건 탈락입니다.
경기
|
일시
|
팀
|
|
1
|
12.4(일) 00:00
|
네덜란드(8강)
|
미국(탈락)
|
2
|
12.4(일) 04:00
|
아르헨티나(8강)
|
호주
|
3
|
12.5(월) 00:00
|
프랑스(8강)
|
폴란드
|
4
|
12.5(월) 04:00
|
잉글랜드(8강)
|
세네갈
|
5
|
12.6(화) 00:00
|
일본
|
크로아티아
|
6
|
12.6(화) 04:00
|
브라질
|
대한민국
|
7
|
12.7(수) 00:00
|
모로코
|
스페인
|
8
|
127(수) 04:00
|
포르투갈
|
스위스
|
속속 이제 8강 진출팀이 가려지고 있는데요 현재 네덜란드,아르헨티나,프랑스,잉글랜드가 8강에 진출했으며 일본 크로아티아 브라질 대한민국 모로코 스페인 포르투갈 스위스 국가 가 남은 8강 자리를 놓고 경쟁하게 됩니다
참고로 대한민국의 16강 경기는 12월 6일 화요일 새벽 4시에 열립니다.
[ 8강 진출 국가 ]
네덜란드(A조 1위) vs 아르헨티나(C조 1위)
잉글랜드(B조 1위) vs 프랑스(D조 1위)
<12월 6일, 화요일>
00:00 [16강 5경기] 일본 : 크로아티아
04:00 [16강 6경기] 브라질 : 대한민국
<12월 7일, 수요일>
00:00 [16강 7경기] 모로코 : 스페인
04:00 [16강 8경기] 포르투갈 : 스위스
스페인 모로코 분석
모로코 | VS | 스페인 |
22위 | 피파랭킹 | 7위 |
왈리드 레그라귀 | 감독 | 루이스엔리케 |
로맹 시아스 | 주장 | 세르히오 부스케츠 |
16강(1986) | 최고 성적 | 우승 (2010) |
1무 3패 | A매치 상대전적 | 3승 1무 |
26.7세 | 평균연령 | 27세 |
- 경기장소: 에듀케이션 시티 스타디움
- 경기일정: 2022년 12월 7일 수요일 오전 00시
- 경기중계: KBS, SBS, MBC, 아프리카티비, 네이버스포츠
● 모로코 (피파 랭킹 22위 / 팀 가치 : 241.10m 유로)
아틀라스의 사자라는 별명을 갖고 있는 모로코는 이번 카타르 월드컵 다크호스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우승후보 벨기에와 북중미 예선에서 복병으로 불리던 캐나다에게 승리하며 조 1위로 16강행 출전권을 따냈습니다
1986 멕시코월드컵 이후 36년 만에 16강에 오른 모로코 선수들 16강 상대는 스페인 입니다 모로코는 월드컵 역사상 가장 좋은 성적을 기록하기 위해 더 높은 곳으로 가려합니다
모로코는 최종예선 6경기에서 모로코는 11골을 터뜨리고 단 한 골도 허용하지 않은 '명품 수비'를 자랑하며 아프리카 최고의 수비수 중 한 명으로 꼽히는 주장 메흐디 베나티아(유벤투스)를 필두로 나빌 디라르(페네르바체), 미드필더 음바크 부수파(알자지라) 등 30대 베테랑들이 팀의 중심을 잡고 있으며 모로코를 대표하는 선수로는 아치라프 하키미 선수가 있습니다
강호들을 상대로도 훌륭한 경기력을 보여주면서 전 대회 4강까지 갔던 벨기에와 크로아티아를 상대로 1승 1무를 기록하는 이변을 연출한 모로코 유럽 강호들 상대로 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얻기에는 충분했으며 스페인전 또한 충분히 해볼만 하다고 생각할 것 입니다
● 스페인 (피파 랭킹 7위 / 팀 가치 : 877.00m 유로)
일본에게 일격을 당해버렸고, 16강 진출 실패 위기를 맞았으나 독일이 코스타리카를 이겨준 덕분에 16강에 진출한 스페인 팀입니다
3차전에서 패배하면서 조 2위가 된 것이 나쁜 상황은 아닌데, 16강에서 만날 상대가 크로아티아보다는 모로코가 더 나은 상황이고, 8강에서는 브라질을 피할 수 있기 때문. 이를 의식했는지 경기 후반에는 무리하게 공격을 하기보다는 볼을 돌리면서 소극적으로 경기를 운영하는 모습을 보여주기도 했습니다
코스타리카를 7골차로 완파하는 과거의 향수를 불러 일으키는 경기 스타일과 활약으로 좋은 스타트를 보였지만 결정력의 부재를 보이면서 다소 주춤한 상황이며 주포가 없다는 것이 무적함대 스페인의 최대 약점이라고 볼 수있습니다
● 경기예상
객관적인 전력면에서는 스페인이 많이 앞서는게 사실입니다 모로코가 수비적으로 나서면서 역습 한 방을 노린다면 상대의 라인을 돌파하는 것을 어려워했던 스페인으로서도 많은 득점을 장담하기 어렵다고 생각하며 저득점 경기 양상이 생각됩니다
2026월드컵은 어디?
22년 우승이 결정되면 다음 2026 월드컵 개최국은 3개국 공동 개최입니다.
3개 국가가 공동으로 개최를 한 것은 이번이 최초이고 이전에 2002년 대한민국, 일본 이후 24년 만에 공동 개최되는 월드컵 입니다
미국은 1994년 이후 32년 만에, 멕시코는 1970년과 1986년 이후 40년 만에, 캐나다는 첫 개최지로 선정되었고 2026 월드컵 대회부터 48개국 본선 진출국이 확정되며 세 나라가 경기장을 분산하여 경기를 치르게 됩니다
32개국에서 48개국으로 늘어나면 그만큼 각 대륙별 진출국 범위가 확대되며 대륙마다 배당되는 출전 국가는 몇 장이 더 분배가 되는지 밑 표를 통해 확인하시면 되겠습니다
대륙
|
2022년
|
2026년
|
아시아
|
4.5장
|
8.5장
|
아프리카
|
5장
|
9.5장
|
북중미
|
3.5장
|
6.5장(+0.5)
|
남미
|
4.5장
|
6.5장
|
오세아니아
|
0.5장
|
1.5장
|
유럽
|
13장
|
16장
|
2026 월드컵 개최지 3개 나라가 자동 진출로 인해서 북중미의 다른 나라들이 그만큼 기회가 줄어 이번에는 북중미에 +0.5가 더 배정되었고 3개국 + 2개국(대륙 간 플레이오프)이 기회를 얻게 됩니다.
결국 아시아 8장, 아프리카 9장, 북중미 3장, 남미 6장, 오세아니아 1장, 유럽 16장은 확정이고 0.5장은 각 대륙 간 플레이오프 6개국이 한 번 더 기회를 얻어 최종 진출의 기회를 노릴 수 있게 됩니다.
본선에 진출했다면 각 조별 예선은 A~ P까지 16개 조로 나눠지고 3개 팀씩 조 편성이 이루어지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