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2021년은 비트코인을 비롯한 암호화폐 시장의 호황기로 여겨집니다. 하지만 올해들어 미연준의 기준금리 조기인상과 양적 긴축시사로 인해 계속된 하락세를 거듭하고 최고가 대비 반토막이나서 투자심리는 현재까지 위축되어있는데요. 이와 같이 하락장이 이어질 때에는 코인 관련 정보나 이슈를 더욱 꼼꼼히 살펴서 현명하게 대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온톨로지 란?
온톨로지는 신뢰 기반의 공동 작업을 위한 분산화 플랫폼을 만들고자 하는 프로젝트로, 자체 프레임워크를 통해 디앱(DApp)에 맞춤형 퍼블릭 블록체인들을 제공하고, 프로토콜의 간 협력을 지원하는 분산화 인프라를 제공합니다. 온톨로지 토큰(ONT)은 네트워크 합의 및 거버넌스의 용도로 사용됩니다.
1. 온톨로지 (ONT), 온톨로지 가스 (ONG)
온톨로지 플랫폼에는 온톨로지(ONT)와 온톨로지 가스(ONG) 2개의 자체 토큰이 존재합니다. 온톨로지 메인넷 론칭 전부터 존재한 ONT는 스테이킹과 거버넌스 참여에 사용됩니다. ONT 보유자는 자신의 ONT를 노드에게 위임할 수 있으며, 각 노드는 블록 생성과 검증 프로세스에 참여하여 채굴 보상과 수수료로 ONG를 지급받게 됩니다. 메인넷 론칭 이후 ONT 토큰이 메인넷 코인으로 바뀌면서 발행된 ONG는 블록체인 사용에 발생하는 거래 수수료 및 저장공간 사용료로 이용됩니다.
2. 프레임워크 기술
온톨로지는 스마트 컨트랙트와 보안 프로토콜을 갖춘 탈중앙화 장부 시스템으로 기존의 정보 시스템 및 블록체인 상의 기술 시스템과의 호환을 지원합니다. 또한, 온톨로지는 안전한 데이터 저장소, 하드웨어 키 관리 옵션, 암호화된 데이터 분석을 위한 시스템을 제공하여 탈중앙화된 다양한 종류의 서비스를 애플리케이션 플랫폼 내 구성합니다. 이 때 API, SDK 등 기타 모듈을 활용하여 탈중앙화된 데이터 교환, 프로세스 관리 프로토콜 등 모든 종류의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프레임워크를 제공합니다.
3. 온톨로지 탈중앙화 아이덴티티(ID) 검증과 인증
신뢰 네트워크 구축의 가장 중요한 요소는 데이터 프라이버시를 보장하는 탈중앙화 및 다중 요소 ID 확인 시스템입니다. 온톨로지의 탈중앙화된 ID 확인 시스템은 중앙화된 기관에 의한 신원 확인 없이 참여자 개인이 선택한 검증 서비스를 통해 디지털 신원을 만들 수 있습니다.
4. 분산 원장 기술
온톨로지는 다양한 비즈니스를 지원하며, 투명한 생태계를 확장을 위해 조작이 불가능한 원장 내에서 구현됨에 따라 참여자 간의 신뢰성이 높습니다. 이를 위하여 스마트 컨트랙트 기반의 분산화 네트워크, 저장소, 권한, 보안성 그리고 다양한 모듈을 활용합니다.
5. VBFT 합의 알고리즘
온톨로지는 지분증명(PoS)과 VRF, BFT를 결합한 VBFT(Verifiable Byzantine Fault Tolerance) 합의 알고리즘을 사용합니다. VBFT 알고리즘은 검증 가능한 무작위 함수인 VRF 관점에서 비잔틴 장애 허용 알고리즘을 개선하였습니다. 이를 기반으로 합의 그룹의 확장성을 지원하고 VRF는 합의 생성을 위한 무작위성 및 공정성을 보장하여 최종점에 신속하게 도달할 수 있도록 보장합니다.
온톨로지는 무엇을 해결을 목표로 할까?
온톨로지는 블록체인과 사업사이의 커다란 벽을 허무는 데에 목적이 있습니다. 어떤 벽이 현재 가로막고 있냐면 현재 기업들은 분산화된 네트워크에 대한 충분한 지식이 없으면 블록체인 기술을 자신의 시스템에 안에 통합시킬수 없습니다. 온톨로지는 이를 해결하고자 나온 프로젝트입니다. 온톨로지가 만든 도구를 이용하면 기업들은 그들의 입맞에 맞춰 성숙한 신뢰 메커니즘을 가져올 수 있습니다. 이는 어떻게 해석할 수 있냐면 온톨로지는 블록체인 기술을 전 세계적으로 상용화를 시키는 것에 대한 새로운 문을 연것이죠. 또한 현재, 신뢰의 네트워크는 많은 문제점들을 직면하고 있습니다. 낮은 보안성, 처리되지 못한 데이터들, 데이터 관리의 중앙화, 비효율적인 신원 확인 방법등 이 모든걸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하여 온톨로지는 해결하려 합니다. 온톨로지는 주로 분산 디지털 ID 프레임워크와 분산 데이터 교환 프로토콜 등 커뮤니티, 증명 및 다양한 산업별 모듈을 결합한 블록체인 플랫폼을 구축하는 프로젝트입니다.
온톨로지 네오 프로젝트 차이는?
온톨로지와 네오는 블록체인 기술을 세계에 상용화 시키기 위해 모두 노력중입니다. 하지만 둘의 목표는 약간 다릅니다. 네오는 디지털 자산과 스마트 이코노미를 건설하는데 주된 목적을 둔 반면 온톨로지는 현재의 신뢰, 신원, 그리고 데이터 교환과 데이터에 대한 권한을 처리하는 방식을 해결하는데 목표 두고있습니다.
온톨로지 전망은?
온톨로지는 신원 증명, 지갑, 신용 및 대출 서비스를 영위하며 자체적인 네트워크를 구축해 나가고 있습니다. 향후 온톨로지는 다양한 퍼블릭 체인에 탈중앙화 ID기능을 통합하고, NFT나 디파이(DeFi), 탈중앙화 거래소(Decentralized Exchange,DEX) 등 많은 디앱들에 대한 지원을 통하여 온톨로지 생태계를 확대해나갈 것으로 전망됩니다.
'코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칠리즈 코인 전망 지금보면 어떨까? (0) | 2022.07.14 |
---|---|
콘텐토스 코인 전망 (0) | 2022.07.14 |
업비트 마로코인 전망은? (0) | 2022.07.12 |
리플 xrp 전망 지금은? (1) | 2022.07.11 |
플로우 코인 전망 지금은 어떨까요? (0) | 2022.07.11 |